만성 코로나19증후군(Long COVID)
- 업데이트일시: 2024-07-30
- 해당부서: 치료임상연구과(043-913-4817)
만성 코로나19증후군(Long COVID) 정의
- 코로나19의 다양항 증상/징후가 흔히 진단 4주 이내까지는 지속되므로 이를 급성기 코로나19라고 부르며, 흔히 코로나 후유증으로 불리는 만성 코로나19증후군(Long COVID)에 대한 정의는 급성기나 그 이후에 발생한 하나 이상의 증상/징후가 다른 질환으로는 설명이 안되면서 그 지속 기간이 코로나19 진단 4주-3개월이 지나서도 계속되는 것을 만성 코로나19증후군(Long COVID)이라 정의함
만성 코로나19증후군(Long COVID) 임상적 특징
- 급성 코로나19 감염 이후 대다수의 환자는 증상 호전을 보이지만 중증환자를 포함한 약 15%의 환자들의 경우 감염 후 만성적 장기 손상 이후, 임상적 후유증이 발생하거나, 만성 코로나19증후군 증상을 보일 수 있음
- 만성 코로나19증후군은 시간 경과에 따라 변동되거나 재발할 수 있음. 일반적으로 급성기, 아급성기 코로나19에서 회복되는 데에 걸리는 시간은 사람마다 다르나 대부분 3개월경에는 호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조사에 따르면 관련 증상/증후로 발열, 호흡곤란, 기침, 가슴통증, 두근거림, 피로감 등 다양한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으며 국내에서도 만성 코로나19증후군에 대해 조사·연구 중으로, 전 세계적으로 발생 빈도, 발생 증상, 발생 기전, 관리 방법 등에 관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임
만성 코로나19증후군(Long COVID) 위험인자
-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감염된 이후, 대부분 시간 경과에 따라 대게 호전을 보이지만, 32개국 128만 명 이상의 생존자를 포함한 메타분석 결과 감염 후 12개월 이내 기간 환자의 49%가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만성 코로나19증후군 증상이 있는 것으로 확인
- (위험인자) 여성 성별, 고령, 높은 비만도, 흡연력, 기저질환(불안 또는 우울증, 천식, 만성폐쇄성폐질환, 당뇨병, 허혈성 심장질환), 이전 입원 또는 중환자실 입원력 등임
- (성별) 여성의 경우 남성보다 만성 코로나19증후군 발생 위험이 2배 높음
- (중증도) 코로나19 후 증상/징후 지속은 급성기의 중증도와 관련 없이 발생할 수 있으며, 만성 코로나19증후군은 입원 치료를 받았던 환자에게서 입원하지 않았던 환자에서 보다 높은 발생률을 보임
- 만성 코로나19증후군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인자로는 백신접종으로 2회의 백신접종이 만성 코로나19증후군 발생 위험을 낮추는 것으로 보고 됨
질병관리청-대한감염학회, 용어 및 정의 확립('22.5월~)
- 코로나19 후유증으로 불리는 만성 코로나19증후군(Long COVID)에 대한 정의는 명확히 정립되지 않았으며, 여러 나라와 기관마다 다른 용어나 정의를 사용하고 있음
- 또한, 코로나19 이후 후유증에 대한 연구와 국민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례정의 등을 위해 용어 통일이 필요
- 이에, 질병관리청과 대한감염학회는 급성기나 그 이후에 발생한 하나 이상의 증상/징후가 다른 질환으로는 설명이 안되면서 그 지속 기간이 코로나19 진단 4주-3개월이 지나서도 계속되는 것을 만성 코로나19증후군(Long COVID)이라 정의함
- 코로나19 급성기 또는 아급성기 합병증으로 정맥혈전색전증, 심근염, 심낭염, 뇌염 및 갑상선염 등이 발생할 수 있으나, 이를 만성 코로나19증후군으로 분류하지는 않음
- 일반적으로 피로감, 호흡곤란, 우울·불안, 인지저하 등 증상이 보고되었고, 급성기 코로나19 이후 새로 시작될 수도 있고, 급성기 증상에서 계속될 수도 있고, 시간에 따라 변동되거나 재발될 수 있음
국외 용어 및 정의
- (WHO) 보통 코로나19 증상발현 이후 3개월 이내 발생하여 최소 2개월 동안 지속되는 다른 대체 진단으로 설명될 수 없는 증상을 Post-COVID Conditions로 정의, 국내외 200여 명 전문가 패널을 구성하여 전문가 합의법(델파이기법)을 통해 Post-COVID Conditions 정의를 발표('21.10월)
- A clinical case definition of post COVID-19 condition by a Delphi consenses. WHO. '2021.10.6.
- (미국 CDC) 코로나19 감염 4주 후에도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 Post-COVID conditions(Long COVID)로 정의
- "post-COVID Conditions : Information for Healthcare Providers" , CDC.
- http://www.cdc.gov/coronavirus/2019-ncov/hcp/clinical-care/post-covid-conditions.html
- (영국 NICE) 코로나19증상이 4-12주 지속되는 경우 Ongoing symptomatic COVID-19, 코로나19 진단 12주 이후에도 증상이 지속되는, 다른 진단으로 설명되지 않는 경우 Post-COVID syndrome으로 정의
- COVID-19 rapid guideline : managing the long-term effects of COVID-19 NICE. '2022.1.3
- (유럽임상미생물감염병학회, ESCMID) 코로나19 진단 12주 이후에도 다른 진단으로 설명이 되지 않는 증상/징후가 지속/재발되는 경우 Long COVID로 정의
- Yelin D등, ESCMID rapid guidelines for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long COVID. Clin Microbiol Infect. 2022
국내 주요 연구
- (국가건강조사를 이용한 연구) 1. 국민건강영양조사 기반의 코로나19 후유증 현황. 국민건강통계플러스. ‘2023.04. (질병관리청 사업)
주요 연구결과
- (연구방법) 2022년 국가건강조사*에 코로나19 확진 후 4주 이상 지속되는 증상에 대한 내용을 설문에 포함하여 진행
- (국민건강영양조사)「국민건강증진법」제16조에 근거하여 우리 국민의 건강‧영양 수준에 대한 국가 통계 산출을 위해 매년 만1세 이상 약 1만 명을 대상으로 연중조사 실시
- (연구대상) 2022년 국가건강조사 설문 응답자 3,352명
- 성별 : 남성 43.2%, 여성 56.8%
- 연령 : 19-29세 11.0%, 30-39세 13.0%, 40-49세 16.0%, 50-59세 17.1%, 60-69세 21.4%, 70세 이상 21.5%
- (연구결과)
- 코로나19 확진자 중 29.6%가 4주 이상 증상이 지속됐으며 남성(33.9%)보다 여성(66.1%)에서, 연령이 낮을수록 후유증 경험률이 높았음
- 19-29세(23.5%), 30-39세(19.5%), 40-49세(17.2%), 50-59세(17.5%), 60-69세(15.1%), 70세 이상(7.2%)
- 4주 이상 지속된 다빈도 증상은 ‘기침, 가래’, ‘피로감’, ‘인후통’ 순이었으며 65세 이상 여성에서 후유증으로 인한 의료기관 외래치료율(47.7%)과 일상생활에 지장을 많이 받는 경우(26.8%)가 가장 높았음
- 예방접종 여부에 따른 4주 이상 증상 경험률은 비접종자(47.6%)가 접종자(29.6%)보다 높았으며, 일상생활에 지장을 많이 받은 경우도 비접종자(37.7%)가 접종자(12.5%)보다 높았음
- 접종자는 코로나19 예방접종을 2차 이상(‘얀센’의 경우 1차) 완료한 자, 비접종자는 코로나19 예방접종을 하지 않은 자로 정의
- 비만, 고혈압, 당뇨병 등 만성질환이 있는 경우 코로나19 후유증 경험률이 더 높았음
- 표. 코로나19 후유증 경험자의 특성, 19세 이상, 2022
남녀 19세이상, 19~46세, 65세 이상 코로나19 후유증 경험자의 특성 정보 남자 여자 19세 이상 19-64세 64세 이상 19세 이상 19-64세 64세 이상 대상자수 % (SE) 대상자수 % (SE) 대상자수 % (SE) 대상자수 % (SE) 대상자수 % (SE) 대상자수 % (SE) 후유증 경험 후유증 경험률 563 21.8 (1.9) 421 22.6 (2.0) 142 17.2 (3.7) 876 36.3 (2.0) 673 37.7 (2.1) 203 29.4 (3.8) 4주 지속 증상 종류
(중복응답)기침,가래 109 54.8 (5.2) 87 55.9 (5.7) 22 46.2 (13.8) 316 53.1 (3.6) 261 52.8 (3.7) 55 55.1 (8.2) 피로감 109 19.3 (3.7) 87 18.8 (3.8) 22 23.2 (8.9) 316 23.8 (2.5) 261 25.3 (2.9) 55 14.8 (5.9) 인후통 109 11.0 (3.5) 87 12.5 (3.9) 22 0.0 (-) 316 10.3 (1.8) 261 8.1 (1.5) 55 24.0 (8.7) 후각상실 109 10.4 (3.3) 87 10.1 (3.6) 22 12.8 (8.7) 316 9.9 (2.1) 261 10.0 (2.3) 55 9.1 (3.9) 미각상실 109 7.1 (2.9) 87 8.0 (3.4) 22 0.0 (-) 316 11.2 (2.0) 261 11.6 (2.3) 55 8.4 (4.1) 두통 109 6.5 (2.6) 87 6.5 (2.9) 22 6.5 (4.7) 316 5.3 (1.3) 261 4.9 (1.4) 55 7.8 (3.8) 호흡곤란 109 4.4 (2.2) 87 4.6 (2.4) 22 3.1 (3.1) 316 5.8 (1.4) 261 5.1 (1.4) 55 10.6 (5.1) 근육통 109 5.6 (2.6) 87 5.7 (3.0) 22 5.3 (3.9) 316 4.8 (1.2) 261 3.8 (1.1) 55 11.0 (4.6) 증상 치료 기관 의료기관 입원치료 109 0.4 (0.4) 87 0.0 (-) 22 3.1 (3.1) 316 0.2 (0.2) 261 0.0 (-) 55 1.4 (1.4) 의료기관 외래치료 109 23.3 (5.1) 87 20.0 (5.2) 22 47.3 (13.7) 316 36.1 (2.9) 261 34.2 (3.4) 55 47.7 (8.6) 약국 이용 109 12.2 (3.5) 87 13.6 (3.9) 22 2.1 (2.1) 316 5.5 (1.5) 261 4.8 (1.5) 55 10.2 (5.1) 치료받은 적 없음 109 63.7 (5.8) 87 65.8 (6.3) 22 47.5 (13.2) 316 58.2 (3.1) 261 61.0 (3.5) 55 40.8 (7.9) 일상생활 지장 많이바음 109 8.2 (2.9) 87 8.1 (3.2) 22 8.7 (5.2) 316 17.6 (2.5) 261 16.1 (2.5) 55 26.8 (8.4) 조금받음 109 59.5 (5.8) 87 61.5 (5.8) 22 44.3 (13.6) 316 50.0 (2.8) 261 52.0 (3.2) 55 37.4 (7.6) 전혀 받지 않음 109 32.3 (5.5) 87 30.3 (5.4) 22 47.0 (13.8) 316 32.4 (2.8) 261 31.9 (3.0) 55 35.8 (7.1) ※ 자료원 : 국민건강영양조사
- (시사점) 코로나19 예방접종을 받은 경우 4주 이상 증상 경험률이 비접종자에 비해 더 낮게 나타남
- 코로나19 확진자 중 29.6%가 4주 이상 증상이 지속됐으며 남성(33.9%)보다 여성(66.1%)에서, 연령이 낮을수록 후유증 경험률이 높았음
- (국가건강조사를 이용한 연구) 2. 2022 지역건강통계 한눈에 보기. 지역사회건강조사. ‘2023.05.30. (질병관리청 사업)
주요 연구결과
- (연구방법) : 2022년 지역사회건강조사*에 코로나19 확진 후 4주 이상 지속되는 증상에 대한 내용을 설문에 포함하여 진행
- (지역사회건강조사) 「지역보건법」제4조에 근거하여 전국 258개 보건소가 지역주민의 건강실태 파악을 위해 만19세 이상 성인 약 23만명(보건소당 약 900명)을 대상으로 매년 8∼10월 실시
- (연구대상) : 2022년 8월 16일~10월 31일 지역사회건강조사 설문 응답자 총 231,329명
- 설문 응답자는 만19세 이상으로 시·도별 평균 연령은 48.1세~61.3세 사이에 분포
- (연구결과) ※17개 시·도 중앙값을 기준으로 함
- 만성 코로나19증후군 경험률은 전국 시·군·구 중앙값 19.4%, 17개 시·도 중앙값 20.4%로 대전에서 13.0%로 가장 낮게, 경남에서 26.3%로 가장 높게 나타남
- 17개 시·도(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 4주 이상 지속된 주된 증상은 ‘기침·가래(57.6%)’, ‘피로감(32.2%)’, ‘인후통(18.8%)’, ‘미각상실(13.2%)’, ‘두통(12.5%)’ 순으로 나타남
- 4주 이상 지속된 증상 치료는 ‘외래치료(43.4%)’, ‘약국(16.1%)’. ‘치료받은 적 없음(38.3%)’으로 나타남
- 만성 코로나19증후군으로 인한 일상생활 지장 경험률의 경우 ‘많이받음(17.3%)’, ‘조금받음(59.3%)’, ‘전혀받지않음(22.5%)’로 나타남
- 코로나19 예방접종 여부*에 따른 4주 이상 증상 경험률은 접종군(19.5%)가 비접종자(20.3%)보다 낮았음
- 2차 접종 이상 받은 경우를 접종군으로 분류, ‘얀센’ 접종자의 경우 2차 접종 완료자로 포함
코로나19 후유증 증상별 경험률 기침/가래, 피로감, 인후통, 미각상실, 두통 정보 표입니다. 구분 기침,가래 피로감 인후통 미각상실 두통 시·도 중앙값 57.6 32.2 18.8 13.2 12.5 격차 17.3 20.3 15.3 6.7 13.7 서울 54.1 32.0 16.6 11.8 11.8 부산 58.0 29.4 20.8 14.2 12.7 대구 52.7 37.2 21.3 10.7 12.2 인천 56.0 29.0 18.0 12.9 12.1 광주 64.6 32.2 23.5 12.2 13.2 대전 62.5 38.1 27.3 10.0 12.5 울산 54.4 33.9 18.2 13.2 12.5 세종 66.3 24.4 12.0 15.5 4.9 경기 56.5 32.7 19.8 13.1 13.0 강원 55.4 33.8 18.8 11.6 11.1 충북 59.8 33.8 18.7 14.2 12.6 충남 57.6 32.8 17.6 16.6 12.7 전북 60.7 44.7 24.1 15.8 18.6 전남 61.5 30.1 16.0 15.9 10.0 경북 53.8 28.4 19.2 14.0 12.5 경남 59.9 29.8 16.5 16.7 15.3 제주 49.0 24.3 21.0 11.9 11.0
- 2차 접종 이상 받은 경우를 접종군으로 분류, ‘얀센’ 접종자의 경우 2차 접종 완료자로 포함
- 만성 코로나19증후군 경험률은 전국 시·군·구 중앙값 19.4%, 17개 시·도 중앙값 20.4%로 대전에서 13.0%로 가장 낮게, 경남에서 26.3%로 가장 높게 나타남
- (시사점) : 감염 이후 지속되는 증상으로 인한 일상생활의 지장을 경험한 사례가 많았으며, 코로나19 예방접종을 받은 경우 4주 이상 증상 경험률이 비접종자에 비해 더 낮게 나타남
- (빅데이터 연계, 대규모 인구집단 대상 연구)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 중, 코로나19 환자(21,615명)와 인플루엔자 환자(2,380,696명) 자료를 이용한 후향적 연구
- Lee H 등, Comparison of Complications after Coronavirus Disease and Seasonal Influenza, South Korea. Emerg Infect Dis. 2022;28(2)
주요 연구결과
- (연구방법) 건강보험심사평가원(HIRA) 데이터를 사용한 후향적 연구
- 연구에서 설정한 후유증/합병증 : 코로나19 또는 인플루엔자 진단 이후 3개월 및 6개월 추적기간 동안 진단된 증상 또는 징후가 과거 3년간의 기록에는 없었으나 새로이 발생한 증상
- (연구대상) 코로나19 환자 총 21,615명 (코로나19 진단 후 치료받은 자, KCD-7 코드, U07.1) 인플루엔자 환자 총 2,380,696명 (인플루엔자 유사 질환으로 항바이러스제(oseltamivir, zanamivir 또는 amantadine)를 처방 받았거나, 인플루엔자 진단을 받은 자, KCD-7 코드, J09-J11)
- 모든 연령의 환자가 포함되었으나, 코로나19는 20-44세에서 가장 많이 발생(16.7%), 인플루엔자는 0-19세에서 가장 많이 발생(49.6%)하는 차이 존재
- 추출기간 : 코로나19 환자(’20.1.1.~9.30.), 인플루엔자 환자(‘17.7.1.~’18.6.30.)
- (연구결과) 코로나19 환자 19.1%(4,139명)에서 1개 이상 후유증 경험
- 코로나19 환자에서는 치매, 심부전 기분장애 및 탈모에 대한 상대 위험률이 인플루엔자 환자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임
- RR(95% CI), 치매 1.96(1.52~2.55), 심부전 1.88(1.42~2.50), 기분장애 1.73(1.56~1.93),탈모 1.52(1.18~1.97)
- (설문조사 방법을 사용한 연구 1) 온라인 설문을 이용한 관찰연구
- Kim Y 등, Post-acute COVID-19 syndrome in patients after 12 months from COVID-19 infection in Korea. BMC Infect Dis. (2022)22:93
주요 연구결과
- (연구방법) 온라인 설문을 이용한 관찰연구
- (연구대상) 경북대학교병원에서 ‘20.2월~’21.2월 코로나19 진단받은 환자 5,252명(1차) 및 7,201명(2차) 대상 설문 응답자
- 1차 응답자 900명(응답률 17.1%), 2차 응답자 678명(응답률 9.4%)
- (온라인 조사 기간) 1차: 2020. 9.8.~9.10.(6개월차), 2차: 2021. 5.26~6.1(12개월차)
- 1차 및 2차 모두 응답자 241명(모두 2020.2.13.~3.13에 경북대학교병원에서 확진)
- (환자특성, 241명) ❶ 경증 194명(80.5%), 중등증 30명(12.4%), 무증상 11명(4.6%), 중증 6명(2.5%,), 심각(critical)으로 분류된 환자는 없었음 ❷ 입원환자 132명(54.8%), 생활치료센터 입소자 106명(44%), 자가격리자 3명(1.2%) ❸ 중간연령은 37세로 참여자 중 12-29세(n=99, 41.1%)가 가장 많았으며, 60~70세 환자(n=20, 8.3%)가 포함 여성 164명(68.0%), 남성 77명(32.2%) 포함
- 증상발현/진단 ~ 설문조사까지 기간 : 중간값 454일(451~458일)
- (연구결과) ❶ 1년에 걸친 2회 설문조사에 모두 응답한 241명 중 127명(52.7%) 응답자에서 코로나19 관련 증상 지속, 그 중 12명(5%)은 외래 치료가 필요하였음 ❷주요증상은 집중력 장애 (22.4%, 54명), 인지기능장애(21.2%, 51명), 불면증(19.9%, 48명), 피로 및 불안(16.2%, 39명) ❸ 삶의 질 평가(EQ5D)에서는 설문응답자 59.3%만이 불안이나 우울증이 없다고 응답 높은 연령, 여성, 질병 중중도가 지속되는 신경정신적 증상에 대한 위험인자로 확인됨
- (시사점) 코로나19 후유증은 시간에 따라 개선되나, 신경학적 증상은 다른 증상보다 더 오래 지속될 수 있음
- (설문조사 방법을 사용한 연구 2) 코로나19 코호트 기반 만성 코로나19증후군 양상 분석 연구코로나19 코호트 기반 만성 코로나19증후군 양상 분석 연구
주요 연구결과
- (연구방법) 코로나19 확진 후 3개월 및 6개월차 전화/설문을 이용한 관찰연구
- (연구대상) 기저질환이 없는 60세 미만 성인 대상, 설문 응답자 961명
- 2022년 2월 말~4월 초(오미크론 변이 유행시기) 코로나19 확진 후 3개월이 되지 않은 자
- 3개월차 및 6개월차 모두 응답자 694명 (남성 145명(21%), 여성 549명(79%), 평균연령 32세, 백신접종 이력 672명(97%), 부스터 백신접종 이력 558명(80%), 재감염 30명(4.2%)), (응답률 72.2%)
- (연구결과) ❶ WHO 설문을 이용한 조사결과, 60세 미만 동반질환이 없는 경우에도 확진후 6개월차에 응답자 50% 대상자에서 1개 이상의 증상을, 31%에서 2개 이상의 증상을 호소함 ❷ 주요 증상은 피로(21%), 기침 및 호흡곤란(13%), 기억력 감소(12%), 근골격계 증상(11%), 우울감(7%) 등 ❸ 확진 후 6개월째에 새로 진단된 질환으로는 피부질환 6명(0.9%), 시력장애 7명 (1.0%), 부정맥 6명(0.9%), 갑상선 기능저하, 당뇨, 간질환, 골다공증, 만성 폐질환 악화 각 1명(0.1%) 보고 ❹ 대부분의 대상자에서 12개 항목의 신체기능은 잘 유지되고 있으나, 오래 서있기, 정서적인 이상, 1km 걷기, 10분 동안 집중하기 등 항목에서 감염 이전보다 나빠졌다고 답변(6개월째, 0.7~7.9% 응답자) ❺ 추가로 수행된 우울 및 불안 평가 결과, 6개월차에 중간 이상 우울증 2.7%, 치료를 요하는 우울증 1.0% 호소 ❻ 삶의 질 평가에서는 대부분 문제가 없었으나, 통증/불쾌감, 불안/우울 항목에서 ‘문제 없음’ 비율이 78~81%로 다른 항목보다 낮았음
- 나이가 많을수록(Odds ratio=1.1), 여성인 경우(Odds ratio=2.3) 6개월째 증상 호소 비율이 높았음
- 재감염이 있을수록, 백신 접종을 하지 않을수록, 흡연을 할수록 6개월째 증상 호소 비율이 높은 경향성을 보임
- 우울증은 여성, 2개 이상의 지속 증상이 위험인자로, 불안증은 재감염, 2개 이상의 지속 증상이 위험인자로 확인됨
- (시사점) 60세 미만 동반질환이 없는 경우에도 감염 이후 지속되는 증상을 호소하는 사례가 관찰되며, 이로 인한 신체기능 및 삶의 질에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 대조군 포함 등 연구 제한점을 보완한 후속연구가 필요함
- (소아 포함한 장기추적 코호트 연구 사업) 코로나19 후유증 조사연구 사업 추진 중
만성 코로나19증후군(코로나19 후유증) 조사연구 사업
- (사업목적) 국내 만성 코로나19증후군 관리대책의 과학적 근거마련 및 미래 감염병 대응체계 구축
- (사업내용) 소아~성인 장기추적(3년) 관찰연구를 통한 만성 코로나19증후군 양상 및 발생기전 조사, 치료 가이드라인 마련 추진
- (사업기간) ‘22.8월 ~ ’25.12월
- (세부연구내용)
소아 포함한 장기추적 코호트 연구사업 중점뷴야, 연구내용 정보 표 중점분야 연구내용 1. 임상기반 만성 코로나19증후군 양상 및 가이드라인 연구 소아청소년 포함 코로나19 확진자 코호트 구축 및 운영을 통한 만성 코로나19증후군 양상 조사연구, 치료 가이드라인 제시 2. 빅데이터 기반 만성 코로나19증후군 연구 동 사업 임상 연구 및 중개연구 등 동의서 기반 자료 DB 구축, 활용 플랫폼 개발 및 활용 연구 3. 만성 코로나19증후군 중개연구 만성 코로나19증후군 발생 원인규명, 바이오마커 탐색 등을 위한 중개연구 -
대상자 모집
진료 지침
- (2024. 1.) 만성 코로나19증후군 진료지침 마련
- 질병관리청-대한감염학회는 주요 국가, 기구별 진료지침 및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한 연구논문 검토 및 질평가를 통해 ’22년 9월 마련한 예비권고안을 개편하여 만성 코로나19증후군 증상/징후에 대한 진단적 검사와 치료에 대한 가이드라인 제공
주요 내용
- (정의) COVID-19 진단 이후 3개월 이상 지속되며, 다른 대체진단으로 설명이 불가능한 증상 및 징후가 보이는 경우(이전과 동일)
- (주요증상) 6개월까지 지속되는 증상으로는 피로감, 기억력 감소, 집중력 장애, 불면증, 우울증 등이며, 대개 시간 경과에 따라 호전(이전과 동일)
- (위험인자) 성별, 고령, 비만도, 흡연력, 기저질환, 중환자실 입원력으로 알려져 있으나, 연구에 따라 위험인자의 연관성은 다양함(이전과 동일)
- (성별) 여성의 경우, 남성보다 2배이상 높고 신경정신과적 증상을 동반한 후유증 발생 위험성이 높음
- (핵심질문)
만성코로나19증후군관련핵심질문 표 핵심질문 1 만성코로나19증후군의 진단기준은 무엇인가? 2 만성코로나19증후군 환자의 임상 양상에 따라 어떠한 검사법들을 시행할 수 있는가? A 호흡곤란을 호소하는 만성코로나19증후군 환자의 평가 방법은 무엇인가? B 기침을 호소하는 만성코로나19증후군 환자의 평가 방법은 무엇인가? C 가슴통증을 호소하는 만성코로나19증후군 환자의 평가 방법은 무엇인가? D 피로를 호소하는 만성코로나19증후군 환자의 평가 방법은 무엇인가? E 관절통 및 근육통을 호소하는 만성코로나19증후군 환자의 평가 방법은 무엇인가? F 두통을 호소하는 만성코로나19증후군 환자의 평가 방법은 무엇인가? G 인지장애 및/혹은 기억장애를 호소하는 만성코로나19증후군 환자의 평가 방법은 무엇인가? H 불안 및/혹은 우울을 호소하는 만성코로나19증후군 환자의 평가 방법은 무엇인가? I 집중력/주의력 저하(Brain fog)를 호소하는 만성코로나19증후군 환자의 평가 방법은 무엇인가? J 수면장애를 호소하는 만성코로나19증후군 환자의 평가 방법은 무엇인가? K 삼킴장애를 호소하는 만성코로나19증후군 환자의 평가 방법은 무엇인가? L 후각 및 미각 장애를 호소하는 만성코로나19증후군 환자의 평가 방법은 무엇인가? 3
만성코로나19증후군 증상에 따른 치료법은 무엇인가? A 만성코로나19증후군 환자의 호흡곤란 증상은 어떻게 치료하는가? B 만성코로나19증후군 환자의 기침 증상은 어떻게 치료하는가? C 만성코로나19증후군 환자의 피로 증상은 어떻게 치료하는가? D 만성코로나19증후군 환자의 관절통 및/혹은 근육통 증상은 어떻게 치료하는가? E 만성코로나19증후군 환자의 두통 증상은 어떻게 치료하는가? F 만성코로나19증후군 환자의 인지장애 및/혹은 기억장애 증상은 어떻게 치료하는가? G 만성코로나19증후군 환자의 불안 및/혹은 우울 증상은 어떻게 치료하는가? H 만성코로나19증후군 환자의 집중력/주의력 저하(Brain fog) 증상은 어떻게 치료하는가? I 만성코로나19증후군 환자의 수면장애 증상은 어떻게 치료하는가? J 만성코로나19증후군 환자의 삼킴장애 증상은 어떻게 치료하는가? K 만성코로나19증후군 환자의 후각 및 미각 장애 증상은 어떻게 치료하는가? 4 만성코로나19증후군 환자에게 예방 목적의 항응고제를 투여해야 하는가? 5 만성코로나19증후군 환자에게 전신 스테로이드(Systemic steroid) 투여가 도움이 되는가? 6 만성코로나19증후군 환자에게 항섬유화제(Anti-fibrotic drug)의 투여가 필요한가? 7 만성코로나19증후군 환자에게 호흡기 재활 치료가 필요한가? 8 만성코로나19증후군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전략은 무엇인가? A 코로나19에 대한 치료 목적의 항바이러스제 투여는 만성코로나19증후군 발생을 늦출 수 있는가? B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백신접종은 만성코로나19증후군의 발생을 늦출 수 있는가?
첨부자료·링크(대한감염학회 승인이후, 첨부자료 제공 예정)
국가별 만성 코로나19증후군 관리지침(가이드라인)
국가명 |
발행기관 및 시기 |
제목 |
주의내용 | URL |
---|---|---|---|---|
뉴질랜드 |
보건부 (2022.12) |
Clinical Rehabilitation Guideline for People with Long COVID(Coronavirus Disease) in Aotearoa New Zealand |
이 지침에는 의료 종사자와 만성 코로나19증후군 환자 및 가족을 위한 자료를 포함하고 있음 |
https://www.health.govt.nz/ |
영국 |
국립보건 임상연구소 (2020.12) |
COVID-19 rapid guideline: managing the long-term effects of COVID-19 | 급성기 코로나19가 시작된 지 4주 이상이 경과한 성인, 어린이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모든 의료환경에서의 치료·관리 권고사항을 제시함 | https://pubmed.ncbi.nlm.nih.gov/ |
호주 |
보건부 (2021.12) |
Australian guidelines for the clinical care of people with COVID-19 | 코로나19 감염자를 돌볼 책임이 있는 의료 전문가, 관련 지원과 교육을 제공하는 사람, 코로나19 진단을 받았거나 의심되는 사람에게 권고사항들을 제공함 | https://files.magicapp.org/ |
미국 |
질병통제 예방센터 국립보건원 (2023.9) |
Long Covid | 질병통제예방센터(CDC)와 국립보건원(NIH), 미국의사회(AMA) 기관 등을 통해 가이던스(지침) 형태로 누리집에 게시되고 있고, 기관별 지침의 내용이 크게 다르지 않음 | https://covid19.nih.gov/ |
WHO |
세계보건기구 2023.1 |
Clinical management of COVID-19: living guideline | 세계보건기구(WHO)는 전문가 델파이를 통해 성인과 어린이 및 청소년의 롱코비드 증상에 대한 임상 사례를 통해 롱코비드에 대한 정의를 합의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코로나19 환자의 생활 관리 가이드 라인을 통해 제공 | https://www.who.int/ |